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unrealbuildshellscript
- xcode_targeting
- unreal_flavorselection
- unreal_binaryselection
- dxt
- sourcetree_authencicationfailed
- unreal_contentmanagement
- python_distutils_module_missing
- molocon24후기
- appcenter대체
- jenkins_계정삭제
- apkipa업로드저장소
- unreal_android_빌드옵션
- etc2
- Unity2022
- ChatGPT
- owasp_dependency_check
- asset database_androidlib
- jenkins_role관리_플러그인
- xcode-select_jeknins
- owasp_depdendency_check_shell
- unrealbuildcommand
- sourcetree_accessdenied
- cookcontent
- jenkins_owasp
- molocon24내용정리
- molocon24
- python3.12.4
- unity package_androidlib
- jenkins_sudo
- Today
- Total
목록Mac (6)
mystic-agit 개발 블로그
Mac에서 bash_profile 또는 zshrc에 선언되어 있는'export {변수명}="{경로}"' 로 이루어진 값들을스크립트 코드 호출 때 동적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었다. 예를 들어,하나의 빌드 머신에 Unreal 5 또는 Unreal 4의 여러 버전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commandLine을 통한 빌드 명령을 내릴 시 어느 엔진을 사용할지 코드에 알려줘야할 필요가 있다.# zshrcexport UE_ROOT="..(생략)../UE5"# my_build_script.shUE_ROOT = $UE_ROOTsh "$UE_ROOT/Engine/Build/BatchFiles...(생략)..."# 이런 my_build_script.sh 코드는 여러 Unreal 프로젝트에서 빌드를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UE..
OWASP Dependency Check에 대한 선행글 확인하기 OWASP Dependency Check 검사를 라이브러리 프로젝트를 다운받아 sh 명령으로 진행할 수 있다.// 검사 명령 호출 양식./dependency-check.sh --project "{리포트_프로젝트_이름}" --scan "{검사할_프로젝트_경로}" --format {output양식}// exmple./dependency-check.sh --project "mystic_agit_Android_Project" --scan "/Users/mystic-agit/HelloWorld/" --format HTML 명령 수행 시 라이브러리 폴더 내에 원격저장소를 통해 검사와 관련된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내가 타겟팅한 프로젝트를 검사한 뒤 리..

목 차1. Python 버전 변경없이 대응하는 방법2. Python 버전을 다운그레이드하여 대응하는 방법 Python 3.x 사용 중에 기존 py 스크립트를 실행하던 중 에러가 발생했다.// 에러 내용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File "/Users/jschoi/.../build.py", line 5, in from distutils import dir_util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distutils' 'distutils' 모듈을 못찾아 해당 함수를 호출하지 못하고 있었다.별일 없이 사용하던 코드에서 발생해서 최근에 변경사항을 확인해보니Python3 버전을 3.12.4로 최신 업데이트 한 것을 확인하였다. 해당 에러에 대한 몇..

SourceTree를 통해 Git 저장소를 관리할 때 간혹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할 때가 있다.remote: HTTP Basic: Access deniedfatal: Authentication failed for 'https://{내 저장소 url}/' 보통 Git 접속 계정의 인증이 잘못된 경우로기존에 사용중이던 Git 계정의 비밀번호가 바뀌는 경우 대부분 발생한다.나의 경우 Git 서버를 회사에서 운영중이고 해당 Git 계정과 비밀번호를 회사 그룹웨어 DB와 연결하여 하나로 관리하기 때문에회사 보안정책으로 그룹웨어 계정 비밀번호를 일정 기간마다 바꿀 때 발생하였다. Mac에선 아래와 같이 기존 계정 정보를 제거해야 한다.파인더에서 아래 경로도 이동하자.~/Library/Application Supp..

목 차 Crontab 사용하게된 이슈 Crontab 으로 호출할 sh 스크립트 작성 Crontab 설정 Crontab 작업 목록 확인 / 삭제 1. Crontab 사용하게된 이슈 Jenkins를 구동하는 기기에서 간헐적으로 외부에서 접속하는 Jenkins 페이지 url이 연결되지 않는 현상이 있다. 실제 구동하는 기기에서 url 접속을 해보면 정상 동작하지만, 타 기기에서 외부 접속이 url이 연결되지 않았다. 완전한 연결 실패 이슈가 아니라서 원인은 찾지 못하였고, 다만 이때 젠킨스 재시작을 해주면 해소가 되었다. brew services restart jenkins Jenkins 빌드를 자주 사용하는 경우.. 혹은 Jenkins 구동 중인 기기가 오랫동안 로그오프되지 않고 켜있는 경우 간헐적으로 발생..

M1 맥북 사용 시 Karabiner 를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부팅과정에서 칩셋과 관련된 로드 명령의 문제인지 반복적인 재부팅이 발생하는 이슈가 발생하였다. 분명 특정 Mac OS 버전 이후부터 정상 동작한다고 언급되어있지만 충족한 조건 상태에서도 발생하여 Karabiner를 삭제하고 나만의 키맵핑 설정을 해보았다. 한번 당해보았고 더이상 못믿겠다.. (Karabiner 설치로 반복되는 재부팅 현상이 발생한다면 로그온 직후 재부팅 진입되기 전 Karabiner 부팅 설정이 로드가 되기전 시스템 설정에서 Karabiner 부팅 설정을 off하고 Karabiner를 깨끗이 삭제해야한다. 관련된 사항은 많은 분들이 방법을 올려놓아서 구글링을 통해 찾아낼 수 있다.) 키 맵핑은 Mac 키보드에서 사용할때, 일반..